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과 중국의 관세전쟁 타임라인 총정리

by 산들고래 2025. 4. 13.
반응형

 

도날드 트럼프가 대규모 관세 계획을 발표하면서 세계 경제에 커다란 긴장감을 불러왔습니다. 중국은 미국에게 지지않고 맞서는데 싸우고 있는 그 두 나라의 티키타카가 마치 피 튀기는 전쟁같이 보이니 고래들 싸움에 주변 국가들은 어떻게 되는건지 불안해지기 마련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과 중국의 관세전쟁을 타임라인으로 정리하고 끝으로 이번 관세전쟁과 관련된 영어표현들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vs 중국 관세전쟁 타임라인

2025년 2월 1일

멕시코, 캐나다에 25% 관세부과. 중국에게 10% 관세부과.

2025년 2월 3일

멕시코, 캐나다 25% 관세 30일 유예.

2025년 2월 4일

중국은 10% 관세 그대로 받을 거임. 모든 상품에 10%임.

2025년 2월 4일

받고. 미국산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에 15% 관세. 원유, 농기계, 대형차, 픽업트럭에 10% 관세를 2월 10일부터 대응합니다.

2025년 2월 10일

응. 관세 적용.

2025년 2월 10일

이제부터 모든 국가의 철강, 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부과.

2025년 2월 13일

또 어느 나라에 "상호"관세를 부과해야할지 알아봐야겠음.

2025년 3월 4일

중국 모든 제품에 10% 추가 관세. (이제 20%)

멕시코, 캐나다는 몇 개 항목 빼드림.

2025년 3월 4일

미국 농산물에 10~15% 관세부과합니다. (항목 1 추가)

2025년 3월 12일

전 국가 철강 알루미늄 제품 25% 관세 오늘부터입니다.

중국은 기존 관세가 있어서 해당 제품 관세율이 45% 이 되는 겁니다. (10+10+25)

2025년 3월 26일

앞으로 4월 3일 부터 자동차에 25% 관세 받을게. 자동차 부품은 5월 3일부터 받을게.

2025년 4월 2일

앞으로 몇 국가들에게 상호관세 일괄 부과합니다. 중국 포함이구요. 관세율 34%. 

멕시코와 캐나다를 제외한 모든 수입품에 10% 세금 받겠습니다.

상호관세 받는 국가들에겐 10%의 보편관세라는걸 받을게요.

 

 

2025년 4월 4일

4월 10일부터 모든 미국 상품에 34% 관세를 부과합니다.

2025년 4월 5일

보편관세 + 10%시작. (이로써 중국 제품 관세 30%.)

2025년 4월 7일

중국의 34% 보복관세 철회하지 않거든 미국도 50% 관세를 더 부과할거임.

2025년 4월 9일

중국 모든 수입품에 관세 폭탄. 이제부터 104%야.

2025년 4월 9일

모든 미국산 제품에 84% 관세를 부과하겠습니다.

2025년 4월 9일

지금부터 중국 수입품에 관세 145%로 인상.

중국 빼고 나머지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 90일 유예. 10% 보편관세만 내세요.

2025년 4월 11일

모든 미국산 제품에 84% 관세를 부과하겠습니다.

 

 

 

 

관세 전쟁의 부작용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인상을 통해 국내 제조업을 활성화하고자 했지만, 관세 정책의 일관성 부족으로 기업들이 혼란을 겪으면서 오히려 투자가 위축되는 부작용이 발생했습니다. 또한 미국 소비자들은 물가 상승으로 실질적 타격을 입게 되었으며, 낮은 소득층일수록 느끼는 경제적 부담이 더 커지게 생겼습니다. 반면 중국은 미국과의 갈등을 피하고 싶었지만, 전체 GDP 대비 대미 수출 비중이 크지 않다는 점에서 미국의 압박에 대응할 여력이 충분하다고 판단했다. 중국 정부는 자국민에게 강경 대응을 강조하며, 미국의 압력에 굴복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보였습니다.

 

정리하자면,

 

1. 소비자 물가 상승

수입품 가격이 오르면서 소비자들이 더 높은 가격을 부담.

2. 기업 비용 증가

관세로 인해 원자재 비용이 상승하면서 제조업체의 생산비용이 증가하여 기업 경쟁력이 약화.

3. 글로벌 공급망 혼란

각국의 관세 장벽으로 글로벌 공급망이 무너지거나 효율성이 떨어져 제품 생산 및 공급에 차질.

4. 무역 축소 및 경제 성장 둔화

무역량 감소로 기업 실적이 악화되고 장기적으로 경제 성장률이 둔화 가능성.

5. 외교 갈등 심화

경제적 긴장이 외교적, 정치적 갈등으로 이어져 국제 협력과 외교 관계에 악영향.

6. 국제 금융시장 불안정성 증가

투자자 불안 심리로 인해 증시 및 환율의 변동성이 확대되어 국제금융 시장이 불안.

 

관세 전쟁은 단기적으로 특정 산업을 보호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경제적 피해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을 키우는 부작용을 초래하게 됩니다.

 

앞으로의 전망은?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전쟁은 양측의 강경한 대응으로 극단적인 수준까지 확대되었습니다. 이러한 높은 관세율은 양국 모두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을 높이며, 국제 공급망을 혼란스럽게 하고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을 심화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양국 기업과 소비자는 막대한 비용 상승과 수출입 감소로 경제적 피해를 입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전망으로는 관세 인상으로 인한 양국 경제 손실이 심화됨에 따라 양국 모두 내부 압박이 강해지고, 결국 협상을 통해 긴장 완화를 모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단기간 내에 급격히 높아진 관세를 철회하거나 완화하기 어려운 만큼, 긴장 상태가 상당 기간 유지될 가능성도 크다고 하는데요. 그 피해가 크지 않아야 할 텐데 앞으로 어떤 전개가 펼쳐질지 잘 지켜봐야 할 거 같아요.

 

배워 볼 영어 표현

1. impose tariffs (과세를 부과하다)

The government decided to impose tariffs on imported steel.

(정부는 수입 철강에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Many countries responded angrily after the US imposed tariffs on foreign goods.

(미국이 외국 상품에 관세를 부과한 후 많은 국가들이 분노하며 반응했다.)

 

2. universal tariffs (보편관세)

The president announced a universal tariff of 10% on all imported goods.

(대통령은 모든 수입품에 10%의 보편관세를 발표했다.)

Universal tariffs could impact global trade significantly.

(보편관세는 글로벌 무역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 retaliatory measures (보복 조치)

China threatened retaliatory measures against US tariffs.

(중국은 미국 관세에 대해 보복 조치를 위협했다.)

Retaliatory measures often lead to prolonged trade wars.

(보복 조치는 종종 장기적인 무역 전쟁으로 이어진다.)

 

4. suspension / grace period (유예)

The US granted a 90-day suspension on tariffs for some countries.

(미국은 일부 국가에 90일 관세 유예를 허용했다.)

Companies are hoping for a longer grace period before tariffs take effect.

(기업들은 관세가 시행되기 전에 더 긴 유예 기간을 원하고 있다.)

 

5. trade war (무역전쟁)

The trade war between the US and China has escalated rapidly.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전쟁이 급격히 확대됐다.)

Economists warn that a prolonged trade war could harm the global economy.

(경제학자들은 장기적인 무역전쟁이 세계 경제에 피해를 줄 수 있다고 경고한다.)

 

6. tariff hike / tariff increase (관세 인상)

Consumers were affected by the recent tariff hike.

(소비자들은 최근 관세 인상에 영향을 받았다.)

Companies are adjusting their supply chains to cope with tariff increases.

(기업들은 관세 인상에 대응하기 위해 공급망을 조정하고 있다.)

 

7. tariff rate (관세율)

The tariff rate on imported cars is now 25%.

(수입 자동차에 대한 관세율은 현재 25%다.)

Tariff rates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product category.

(관세율은 제품군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8. reciprocal tariffs (상호 관세)

The two countries agreed on reciprocal tariffs to ensure fairness.

(두 나라는 공정성을 위해 상호 관세에 합의했다.)

Reciprocal tariffs have strained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allies.

(상호 관세는 동맹국들 간 외교 관계에 긴장을 일으켰다.)

 

9. trade barriers (무역 장벽)

Reducing trade barriers could boost international trade.

(무역 장벽을 낮추면 국제 무역을 촉진할 수 있다.)

Many companies struggle to enter markets with high trade barriers.

(많은 기업들이 높은 무역 장벽을 가진 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10. tariff exemption (관세 면제)

Some allies were given tariff exemptions.

(일부 동맹국들은 관세 면제를 받았다.)

Businesses are applying for tariff exemptions to reduce costs.

(기업들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관세 면제를 신청하고 있다.)

반응형